
올해는 계절의 흐름을 종잡을 수 없을 정도로 이상하다. 조금 이른 추석이 되다 보니 과일이나 곡식은 아직 시간이 필요하고, 송이버섯도 예년보다 보름 정도 늦게 나왔다.
오미자는 해를 본 날이 며칠 안 되지만, 일주일 정도 계속 나온 햇살을 빠르게 따라잡아, 날짜를 따라 정상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추석을 쇠고 나서 수확을 하려고 한다.


올해는 여름 송이버섯이 시기에 나지 않는가 했는데, 계절을 건너뛰어서 가을 송이와 같이 나고 있다. 예년에 비해선 여름 송이가 나지 않은 것이 된다. 지금 시기는 여름 송이의 끝과 가을 송이의 처음이 만나는 시기이다.
여름 송이는 육질이 가을 송이에 비해 단단하지 않고 향도 약한 편인데, 지금 시기는 향과 맛 육질의 단단함 정도가 같다. 다만, 모양이 조금 다르다.


여름 송이는 머리가 크고 줄기가 가늘며, 아래로 내려갈수록 좁아지며 뿌리(흙을 밟고 있는 부분)가 뾰족하고 가늘다. 가을 송이는 줄기가 굵고, 항아리 모양을 하거나, 뿌리 부분이 둥글고 굵기가 줄기와 같거나 크다. 맛과 향 육질의 단단함 정도가 여름 송이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우수하다.

올해는 송이버섯이 많이 난다고 해도, 산에 다니기 어려울 것 같아서 속이 상한다. 새벽에 산에 다녀온다 해도 평소의 반도 못 다니는 정도라서 하늘이 원망스럽다. 그래도, 자연이 하는 일이라 순응하는 수밖에는 없다.
오미자 수확시기와 맞물려서 둘 중 하나를 포기해야 하지만, 하나를 포기하게 되면 또 다른 하나가 새롭게 다가온다.
송이버섯 구분방법 / 송이버섯 향의 비밀 상세보기

으름은 으름덩굴의 열매를 말하는데, 보통 으름이라고 한다. 항염작용이 뛰어난 약재로 알려졌는데, 염증완화에 도움을 주다고 한다. 




































털옷을 잔뜩 입고 나섰지만 파릇한 속살은 그대로 내비친다. 의도하지 않았을지는 모르지만, 묘하게 춘심을 유도한다.
겨울을 지켰던 냉이는 꽃을 피운다. 아직 찾아줄 벌, 나비가 없는데 누구를 유혹하려는지…,
달래는 요즘 보기가 어려운데, 언제 이곳에 자리를 잡았는지, 제법 많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