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오는 맹독성 약초/독초

어제는 종일 비가 오더니 오전엔 잠깐 개었다. 그새 안 보이던 것들이 눈에 들어온다. 취나물, 머구(머위)가 올라오고, 어머닌 쌈 싸먹는다며 민들레를 캐 가지고 오셨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머구(머위)
사용자 삽입 이미지
숲이 우거져 산나물은 구경하기 어렵다. 볕을 못 봐서 살아나지를 못한다. 
취나물, 곰취 등 산나물은 산에서 뜯어 온다는 것은, 어른들 이야기 속이다.
지금은 밭에서 기른다. 우리 집에도 산에서 옮겨 심은 곰취, 취나물이 번식해서 그것을 뜯어서 먹거나, 팔기도 한다. 봄철 우리 어머니의 재미나는 수입원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우리 집 뒷산이다. 이제 생강꽃(산동백)이 피기 시작한다.

초오라는 약초인데, 먹으면 혀를 마비시키는 등 치명적 독초이자 약초다.
어릴 적 거품을 물고 식식거리며, 뒤집혀서 며칠 고생한 염소를 본 적이 있다. 어른들 말로는 초오를 먹어서 그렇다고 했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약초로 사용하는 부분은 뿌리를 주로 사용하는데,

“초오는 두통, 복통, 종기, 반신불수, 인 사불성, 구안와사에 쓰인다.
풍습증으로 인한 마비증상이나 인사불성, 류머티즘성관절염, 신 경통, 요통, 파상풍 등을 치료하며 배가 차가워서 생기는 복통 등에 응용된다. 약리작용으로 진통, 진정, 항염, 국부마비완화 작용이 있으며 다량 복용시 심장운동흥분작용이 보고되었다. [출처:두산백과사전]”

일부 연구에서는 초오의 독성 중 성분에 대한 의심도 있어서 잘 사용하지 않는 약초라고 한다. 술을 담가 나눠 먹다가 집단중독 현상을 보였다는 보고도 있고, 심장마비현상으로 장기간 심폐소생술을 요했다는 사례가 보고되었다고 한다. 해서, 산에 가더라도 초오를 보면 도망가야 한다. 짐승이 못 먹는 것은 사람도 못 먹는다.

소개할까 말까, 몇 번 망설이다 올리게 된 것은, 산에 가서 봄나물이라고, 아는 약초라고 해서 초오를 캐서 먹거나 하지 말라고 하고 싶어서다. 약은 약이지만 토부자라고 불리기도 하는 독약이다.

봄은 봄인 것 같은데, 지금 보이는 현상은 작년 3월10일을 전후한 모습이다.
그때의 기록으로는 생강꽃은 물론 진달래 봉오리가 터지기도 했었는데,
올해는 아직 꿈만 꾸고 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